본문 바로가기
Develop/Python

파이썬 첫 걸음 - 변수 알아보기

by 라이프레이서 2021. 3. 5.
반응형

이번 포스팅부터 본격적으로 파이썬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.

변수 알아보기

가장 첫 단계로 배울 것은 "변수"이다.

변수(Variables)는 우리가 정보를 저장해두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, 다음을 보자.

a = 4
b = 5
print(a+b)

a라는 변수에 4라는 값을 넣었고, b라는 변수에 5라는 값을 넣었다.

a + b의 결과를 print 하라!

라는 뜻이니 우리가 원하는 대로 9라는 결과가 나올 것이다.

위처럼, 변수에 정수를 넣은 것을 Int 타입이라고 한다.

그렇다면 정수 말고는 어떤 값을 넣을 수 있을까?

 

변수에 소수점을 넣는 경우

정수가 아닌 수로, 소수를 넣을 수 있다.

3.14와 같이 소수점을 포함하는 타입을 Float 타입이라고 한다.

a  = 3.14

 

변수에 문자를 넣는 경우

a 라는 변수에 홍길동이라는 문자를 넣어보자

이를 위해서는

a = 홍길동

이 아닌,

a = "홍길동"
b = '홍길동'

위의 형태로 "" 또는 ''로 문자열을 감싸줘야 한다.

이렇게 문자열에 해당하는 타입을 String이라고 부른다.

 

변수에 참 / 거짓을 넣는 경우

변수에는 true / false를 나타내는 값이 올 수 있다.

알람이 울릴 것인지 아닌지 / 인터넷이 연결되었는지 아닌지 등의 상태를 체크해야 할 때가 있다.

이때 사용하는 것이 Boolean 타입이다.

c = False
d = True

참고로, 위 글자를 "" 또는 ''로 감싼다면 더 이상 Boolean 타입이 아닌 String 타입으로 인식하게 된다.

c = "False"
d = 'True'

 

아무것도 넣지 않는 경우

변수에 아무 값도 넣지 않을 수 있다.

None 타입이라는 것이 있는데, 말 그대로 아무 값이 없다는 뜻이며, 이를 선언해줄 수도 있다.

a = None

 

변수에 이름 짓기

위에서 알아본 내용들을 한 군데에 모아보겠다.

a = 1
b = 3.14
c = "홍길동"
d = True
e = None

알파벳 순서대로 변수를 나열하면서 다른 타입의 값들을 넣어준 상태이다.

여기에 f라는 변수와 어떠한 연산 또는 작업을 한다고 생각해보자.

f가 숫자라면, a 또는 b와 사칙연산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.

f가 문자열이라면, 해당 문자를 c의 뒤에 붙이는 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.

이처럼, 변수는 다른 변수와 상호작용 하거나, 변수 그 자체로서 어떠한 행동을 수행하게 된다.

이때 위처럼 abcde....로 지어둔 것이 수백 개가 있다고 생각해보자.

추후에는 저 변수들을 활용하는 순간이 오게 될 것인데, 이렇게 알아보기도 힘든 이름으로 변수 이름을 설정해주면 어떤 것을 뜻하는지 찾는데에 시간이 많이 소모될 것이다.

그렇기 때문에 유의미한 이름을 지어줄 필요가 있다.

변수 이름을 지을 때는 유의미한 단어별로 _(언더바)를 이용해 구분해주는 것이 암묵적인 약속이다.

people_name = "홍길동"
num_of_car = 5
is_yellow = True

이는 _ 뱀 같다고 하여 Snake Case라고도 불린다.

 

* Javascript에서는 낙타 등을 닮은 형태인 Camel Case로 작성하는 것이 암묵적인 약속이다.

var peopleName = "홍길동";
var numOfCar = 5;
var isYellow = true;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