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Business18 부가세 예정 고지 세액 확인, 예정신고 방법 이전 글, 부가가치세 예정고지에 이어, 이번 글에서는 부가세 고지 세액 확인 및 예정신고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부가세 예정고지 대상자는 주로 두 부류로 나뉜다고 말씀드렸어요. ✅ 예정신고를 하지 않는 일반 개인 과세자 ✅ 지난 과세 기간의 총 판매액이 1억 5천만 원 이하인 법인 이때 세액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부가세 예정 고지 세액 확인 방법? 국세청 홈택스 > 납부, 고지, 환급 > 세금납부 > 납부할 세액 조회/납부 로 들어가셔서 사업자 등록번호 또는 주민번호를 입력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부가세 예정 신고 방법? 사업이 순탄하게 진행중이라면 그대로 납부하면 되겠지만, 일반 과세자 중 휴업 및 사업 부진으로 인해 예정고지 금액을 납부할 수 없는 경우, 예정 신고를 진행해주셔야 .. 2024. 4. 4.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란? 얼마 전, 국세청으로부터 부가세를 납부하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. 1월에 분명 부가가치세를 납부했는데 또 하라니? 알고보니 예정고지라는 제도가 있더군요. 이 글에서 한 번 다뤄보겠습니다.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란?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는 국세청이 과거의 부가가치세 신고 내역을 바탕으로 예측하여, 사업자에게 '너 올해도 이만큼 내야 할 것 같으니, 미리 절반 정도는 납부해'라고 통보하는 세금 고지 방식입니다. 국가는 세금을 미리 50%정도 회수할 수 있게 되어 재정을 보충할 수 있는 한편, 사업자 또한 '미래에 왕창 내는 것 보다, 지금 미리 절반만 내야겠다'며 세금을 리마인드 하는 효과도 있을 수 있겠네요. (사업자에게 좋은건진 모르겠습니다) 일반적으로 국세청은 과거의 부가가치세 신고 내역을 바탕으로 예정고지 .. 2024. 4. 4.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차이점? 이전 글에서는 사업자 등록 할 때 필요한 업종 코드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, 이번 글에서는 사업자 등록 과정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 중 하나인 간이 과세자와 일반 과세자에 대한 개념을 이야기해볼게요!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구분 학원, 병원, 농·수산물 도소매 등 면세 업종이 아닌 이상, 개인 사업자는 일반 과세자와 간이 과세자 중 하나로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. "나 사업해서 돈 벌고 있고, 이에 대한 세금을 내겠습니다!"라고 하는 거죠. 그럼 세금을 내긴 낼 건데, 벌어들인 돈 중 얼마를 세금으로 내야 하느냐가 관건입니다. 이때, 업종과 매출액에 따라 간이과세자인지 일반과세자인지 구분하게 됩니다. 둘의 이름만 들어도 '간이' 과세자는 세금을 덜 내고 일반 과세자는 세금을 적절하게 내는 느낌이 오.. 2023. 1. 3. 사업자 업종 코드 선택, 꼭 알고 등록 하세요! 사업을 처음 시작할 때 설렘도 있지만, 본격적으로 사업자 등록을 하는 시점부터는 세금에 대한 공부도 필수적입니다. 특히 1인 창업가의 경우 더더욱 세금에 대해 공부를 해야, 벌어들인 돈에서 세금으로 공제되는 금액을 줄일 수 있겠죠? 세금은 사업자가 신경 쓰는 만큼 충분히 줄일 수 있는 지출입니다. 만약, 현재 사업 현황이 '주머니에 남는 돈이 없으니 당연히 나는 세금이 안 나올 것이다'라고 생각하시더라도, 이는 매출과 경비에 대한 증빙이 잘 관리된 사업자에게 해당되는 말입니다. 즉, 관리 가 잘 되지 않은 사업자라면 세금이 예상보다 더 나올 수 있고 세금감면 혜택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. 이 글은 1인 창업가가 겪는 세금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. 앞으로, 사업자 등록부.. 2023. 1. 2.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